우후죽순 ‘치킨집’ 브랜드 15개 비교해보니
Page info
Writer Date23-05-20 00:00 Hit20 Comment0Link
-
https://youtu.be/gVZlc9l4sVg 7- Connection
Body
실제 우리나라에서 영업 중인 치킨집, 치킨가게가 전세계 맥도널드 매장보다 많다 이런 통계까지 나왔습니다.
-그런데 대단한 노하우가 없어도 할 만하다 이런 생각들에 너도 나도 창업은 하지만 1년도 안 돼서 문을 닫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이상헌 세종대 유통산업대학원 겸임교수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치킨가게 형태는 거의 프랜차이즈 형태이지 않습니까?
이번에 공정거래 산하 공정거래조정원에서 15개 치킨 브랜드를 분석, 비교한 자료를 발표했습니다.
이 내용 먼저 보시겠습니다.
서울의 한 시장 골목.
몇 걸음만 가면 한집 꼴로 치킨가게가 나옵니다.
-2년도 안 됐는데 세 군데가 더 생긴 거 보면 정말 나눠먹기인 것 같아요.
작년하고 올해 매출이 확연히 다르더라고요.
-실제로 치킨브랜드 가맹점은 경기 침체에도 오히려 늘었습니다.
공정거래조정원이 상위 15개 치킨 브랜드 가맹점 수를 조사했더니 2014년 한 해 동안 10개 브랜드의 매장수가 늘었습니다.
가장 많이 곳은 BBQ로 전국에 매장이 1684개에 달했습니다.
매출은 어떤 브랜드가 높을까요.
가맹점의 연매출은 교촌치킨이 4억 1900만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가장 적은 브랜드는 7900만원에 그쳐 연매출로 5배 넘게 차이가 났습니다.
공정거래조정원은 치킨 브랜드별로 재무 현황과 성장성을 분석했습니다.
-가맹점을 열면 대박이 난다 인생역전한다 이런 광고를 하고 있는데 객관적으로 가맹점을 하면 어떤 수익을 얻을 수 있을지 판단해야 합니다.
-치킨 프랜차이즈에 대한 이런 상세한 비교정보를 발표한 게 이번이 처음이라고요?
-그동안 사실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상당히 많은 브랜드들이 자기의 정보를 올려놓고 소비자들이 그 정보를 확인해서 우수브랜드를 찾는 과정에 대한 정보공개서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처음으로 사실은 조금 상징적인 의미의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창업을 원하는 치킨 브랜드에 대해서 비교분석 자료가 나왔기 때문에의미가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게 들으니까 이제 우리나라 치킨 집이 전세계 맥도널드 매장보다 많다 이런는데 실제로 얼마나 되는 겁니까?
-전세계 맥도날드 매장이 한 3만 5000개 정도 됩니다.
그런데 저희들이 사업자 등록증이 등록돼 있는 형태로 국내에 있는 치킨브랜드가 한 3만 7000개 정도가 된다고 하는데요.
소상공인컨설팅협회에서 나온 자료에 의한 사실은 등록되지 않고 또 업종을 갖다 분식으로 했다가 치킨을 판매하는 점포까지 계산을 하면 아마 5, 6만개 정도의 치킨 점포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일반 전통시장의 통닭집, 통닭가게 이런 데 다 합쳐서요?
-그렇습니다.
-그러니까 한 집 건너 한 집이 치킨집이다 이제 이런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닐 것 같은데 그런데 이번 조사 결과에서도 봤듯이 가맹점수가 많다고 해가지고 반드시 장사가 잘되는 거다, 그렇게 볼 수는 없지 않습니까?
-그렇습니다.
가맹점 숫자가 많다고 해서 자영업자가 또한 그 브랜드를 해서 성공한다고 볼 수 있는 사항은 아니고요.
그만큼 많은 점포가 있음으로 인해서 사람들이 해당 브랜드를 알 수 있다라는 정도의 인지도의 차이이지 그 유명한 브랜드 소위 점포가 많다고 해서 창업자의 성공을 담보한다고는 볼 수 없는 상황입니다.
-평균적으로 치킨집 가맹점 한 곳이 연간 2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다고 하니까 사실 매출액만 보고 유망한 것 같다, 도전해 볼 만하다 하지만 드는 비용도 만만치 않은 거잖아요.
실질적인 사장님들에게 돌아오는 영업이익은 그렇게 많지 않을 수도 있는 거죠?
-사실 연매출 2억이라고 하면 이것을 월로 나눠 뽑았을 때는 사실은 2000만원 정도의 월매출이 채 안 돼요.
1800만원 선이잖아요.
그걸 30일로 놓고 보면 하루 매출이 육십 몇 만원 정도 선이라는 거예요.
생각보다 많은 숫자는 아니라는 얘기고요.
보통 치킨의 아이템으로 창업을 하면 두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